전체상품목록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현재 위치
  1. 게시판
  2. 왓솝원료백과사전

왓솝원료백과사전

라이브러리 > 백과사전

게시판 상세
제목 왓솝 - SOD
작성자 (ip:)
  • 평점 0점  
  • 작성일 2008-09-09
  • 추천 추천하기
  • 조회수 780

SOD
원산지  
사용량

 

유통기한 1~2년
보관방법 햇빛이 비추지 않는 서늘한곳에 보관하세요
상세설명

활성산소를 제거시키는 효소(superoxide dismutase)의 약자로서 몸 안에 필요 이상의 활성산소가 생겼을 때 이것을 중화하는 작용을 하는 물질이다. 사람의 질병 90%가 생체의 과잉 활성산소와 과산화지질에 의해서 생긴다.

활성산소란 우리가 호흡하는 산소와는 완전히 다르게 불안정한 상태에 있는 산소이다. 환경오염과 화학물질, 자외선, 혈액순환장애, 스트레스 등으로 산소가 과잉생산된 것이다. 이렇게 과잉 생산 된 활성산소는 사람 몸속에서 산화작용을 일으킨다.

 그러나 활성산소가 나쁜 영향을 주는 것만은 아니다. 병원체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생체방어과정에서 산소·과산화수소와 같은 활성산소가 많이 발생하는데, 이들의 강한 살균작용으로 병원체로부터 인체를 보호하기도 한다. 초과산화이온(superoxide, O2-)을 산소(O2)와 과산화수소(hydrogen peroxide, H2O2)로 바꿔주는 불균등화반응을 촉매하는 효소이다.

초과산화이온이 가지고 있는 free radical anion은 세포에 해로운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SOD는 초과산화이온을 산소와 과산화수소로 바꿔줌으로써 독성으로부터 세포를 방어하는 역할을 한다. 산소에 노출되는 거의 모든 세포에서 이러한 SOD에 의한 항산화방어기작이 중요하며, 일부 유산균들의 경우 다른 방어기작을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사람에게는 SOD1, SOD2, SOD3 세 종류의 SOD가 존재한다. SOD1은 세포질(cytoplasm)에 존재하며 SOD2는 미토콘드리아에, SOD3는 세포 바깥쪽에 존재한다. SOD에 의한 불균등화반응은 다음과 같은 반응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M(n+1)  +  ≈≈≈SOD  +  O2-   →   Mn  +  ≈≈≈SOD  +  O2

 

 

                     M  +  ≈≈≈SOD  +  O2-  +  2H+  →   Mn(n+1)  +  ≈≈≈SOD  +  H2O2

 

여기서 M 금속을 나타내며 n=1일 때는 구리(Cu), n=2 때는 망간(Mn). 철(Fe), 니켈(Ni) 등이 해당된다.

주의사항
*
*
- -



첨부파일
비밀번호 수정 및 삭제하려면 비밀번호를 입력하세요.
댓글 수정

비밀번호 :

/ byte

비밀번호 : 확인 취소